“어쩔 수가 없어”는 현재 배우이자 소리꾼으로 활동하고 있는 ‘조아라’가 1980-90년 대 코미디언으로 활약 했던 아빠 ‘조정현’을 탐구해 나가며 자기만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자전적 1인극이다. ‘어쩔 수가 없어’는 코미디언 시절 ‘조정현’의 유행어이다.
201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다원분야에 선정된 “어쩔 수가 없어”는 다큐멘터리, 연극, 판소리, 사운드, 비디오 등 여러 매체가 상호작용하는 형식(multi-interactive)을 취한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어쩔 수 없는’ 관계들, 상황들, 그리고 삶의 굴곡을 ‘조정현’과 ‘조아라’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주는 작품이다.
“Inevitable” is an autobiographical monologue which shows how JoAhRa as Pansori singer and actor explores her father JoJeongHyeon, a popular comedian in 1980-90s, and discovers her own ways of being an artist. “Inevitable” points to merging of style formats, including documentaries, plays, Pansori, soundscape, and video.
The show is in a way the mantra of comedian JoJeongHyeon at his peak of career.The performance experiments with ‘inevitable’ relationships, situations, and curvature in life with the topics of ‘Father and Daughter’, ‘Clown and Laugh’ and ‘Media extensions’ covered through JoJeongHyeon and JoAhRa’s relationship.
In 2015, BodySoundSpeakJoAhRa had been fund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for the multi-art production of “Inevitable”.
“감은 눈을 번쩍 뜨고 세상을 본 조아라는 착한 딸로 변하는 대신, 조금은 어른이 된 듯한 모양이로구나. 아버지와의 안전한 화해도 우루루루 치워버렸다. 주인공이 저러하니 실상 관객들이 만나는 명장면도 이러하다. 어렵사리 아버지를 찾아간 날, 잠을 설친 조아라가 이를 악물고 울면서 전하는 셀프 카메라가 바로 그것! 도무지 변할 줄 모르는 자신의 나약함과 아버지의 완고함에 분해서 눈물을 뚝뚝 흘리는 그 모습이 퍽 가슴에 사무친다. “어쩔 수가 없”는 것은 어쩌면 긴 세월 동안 자신에게 새겨진 억압의 흔적이고, 해방의 어려움일지도 모른다는 사실. 그러고 보니, 조아라는 그저 해방에 대해 관심이 많구나. 나로부터의 해방, 아버지로부터의 해방, 남성으로부터의 해방, 전통으로부터의 해방, 제도로부터의 해방, 죽음으로부터의 해방. 억압의 사슬을 끊고, 눈물을 닦고, 주체성 있게 나아가자는 게 그녀의 주제파악일 터! 광대의 사명을 걸머진 현대의 연기 예술가들이 걸어갈 숙명과도 같은 길이구나.”
– 서울연극센터 웹진 <연극인> 75호, ‘연극이 끝난후’, 정진세 작가
“The moment JoAhRa opens her tight-closed eyes – no longer does she remain a good daughter but has then appear to have become a grown-up. She’s even put aside a secure reconciliation with her father. That’s where the audience meets the best part of the play: a selfie-video she made on the visit to her father after a sleepless night! Shedding tears of vexation because of her unchanging weakness of mind and father’s stubbornness. In fact, the ‘inevitables’ should be traces of oppression she has gone through and the difficulty of releasing it. JoAhRa seems to mostly be interested in the release. Release from herself, release from the father, release from men, release from traditions, release from the institutions, release from death. It shall be here themes to break off the chains of oppression, wipe away tears and get on with as herself! The destiny of those with the “calling” to become a clown in our days.”
– Jung, Jinse as a Playwright and an editor of Seoul Theater Center Webzine.